본문 바로가기

Problem Solving21

백준 1764 듣보잡 [파이썬, 자료 구조, 문자열, 정렬, 해시를 사용한 집합과 맵] 1764번: 듣보잡 첫째 줄에 듣도 못한 사람의 수 N, 보도 못한 사람의 수 M이 주어진다. 이어서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듣도 못한 사람의 이름과, N+2째 줄부터 보도 못한 사람의 이름이 순서대로 주어진다. www.acmicpc.net d, b = map(int, input().split(' ')) # 듣, 보의 수를 받아온다. # 문제에서 듣, 보 각각은 중복이 없다고 알려줬으므로 set을 사용해도 괜찮다. d_set = set() # 교집합을 편하게 구하기 위해서도 set자료형을 사용한다. b_set = set() for i in range(d): # 듣도 못한 사람들을 저장하고 d_set.add(input()) for i in range(b): # 보도 못한 사람들을 저장하고 b_set.. 2023. 3. 21.
백준 1302 베스트셀러 [파이썬, 자료 구조, 문자열, 정렬, 해시를 사용한 집합과 맵] 1302번: 베스트셀러 첫째 줄에 오늘 하루 동안 팔린 책의 개수 N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부터 N개의 줄에 책의 제목이 입력으로 들어온다. 책의 제목의 길이는 50보다 작거나 같고 www.acmicpc.net ####################################################### ####################################################### b_num = int(input()) # 팔린 책의 수를 받아온다. # print(b_num) b_list = {} # 책의 이름과 몇권 팔렸는지 파악할 딕셔너리를 생성해준다. for i in range(b_num): # 책의 수만큼 for문을 돈다. inp.. 2023. 3. 21.
백준 1654 랜선 자르기 [파이썬, 이분 탐색, 매개 변수 탐색] 1654번: 랜선 자르기 첫째 줄에는 오영식이 이미 가지고 있는 랜선의 개수 K, 그리고 필요한 랜선의 개수 N이 입력된다. K는 1이상 10,000이하의 정수이고, N은 1이상 1,000,000이하의 정수이다. 그리고 항상 K ≦ N 이다. 그 www.acmicpc.net K, N = map(int, input().split()) lan = [int(input()) for _ in range(K)] start, end = 1, max(lan) # start 1 , end 랜선의 max값 while start = N: # 랜선의 개수가 우리가 원하는 N값보다 크다면 start = mid + 1 # start의 값을 mid 바로 오른쪽으로 옮겨 else: # 랜선의 개수가 우리가 원하는 N값보다 작다면 e.. 2023. 3. 15.
백준 2805 나무 자르기 [python, 이분 탐색(binary_search), 매개 변수 탐색(parametric_search)] 2805번: 나무 자르기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1 ≤ M ≤ 2,000,000,000)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 www.acmicpc.net 풀이 코드 https://github.com/GitHubb-JC/code_test/blob/master/%EB%B0%B1%EC%A4%80/Silver/2805.%E2%80%85%EB%82%98%EB%AC%B4%E2%80%85%EC%9E%90%EB%A5%B4%EA%B8%B0/%EB%82%98%EB%AC%B4%E2%80%85%EC%9E%90%EB%A5%B4%EA%B8%B0.py 2023.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