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13

문자열 (String) 1. 문자열 슬라이싱 list s 가 존재할 시 s[시작 인덱스 : 끝 인덱스] 이렇게 사용 가능하다. 시작은 모함되지만, 끝 인덱스는 바로 앞에서 멈춘다. 인덱스를 뒤에서 접근하고 싶을시 마지막 인덱스 '-1' 이렇게 접근 가능하다. s[시작 : 끝 : 간격] 간격을 통해 몇칸씩 건너서 슬라이싱 할지 정할 수 있다. s[시작 : 끝 : 간격] 간격을 음수로 가져오면 역순으로 슬라이싱 가능하다. 이 경우 시작과 끝 인덱스도 역순으로 고려하여 지정해준다. 인덱스를 비우고 슬라이싱 할 경우 그냥 끝까지 진행한다. 2. 문자열 메서드 1) .split(기준 문자) 문자열을 기준으로 나누어 리스트로 반환한다. (공백이면 스페이스" " 를 기준으로 나눠) 2) .strip(제거할 문자) 문자열 양 끝에 있는 특정.. 2023. 4. 17.
리스트(List) 1. 배열 vs 연결리스트 1) 배열 (Array) 여러 데이터들이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있는 자료구조 Index를 통해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 가능 한번 생성되면 길이 변경이 불가하다. (새로 만들면서 바꿔야 한다.) 데이터 타입 고정 2) 연결 리스트 (Linked List) 데이터가 담긴 여러 노드들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형태의 자료구조 가장 첫 노드부터 순차적으로 탐색한다. 리스트의 길이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삽입, 삭제 용이) 다양한 테이터 타입 저장가능 노드들이 연속적으로 저장되는 것은 아니다. 2. 파이썬의 리스트 파이썬 리스트의 메서드 1) .append(원소) 리스트 맨 끝에 새로운 원소를 삽입한다. 2) .pop(원소) 특정 인덱스에 있는 원소를 반환 하면서 삭제 (inde.. 2023. 4. 13.
SQL (GROUP BY, HAVING, ALTER TABLE) 기본 함수와 연산 - 문자열 함수 SUBSTR(문자열, start, length) : 문자열 자르기 시작 인덱스 1, 마지막 인덱스 -1 TRIM(문자열), LTRIM(문자열),RTRIM(문자열) : 문자열 공백 제거 LENGTH(문자열) : 문자열 길이 REPLACE(문자열, 패턴, 변경값) : 패턴에 일치하는 부분을 변경 UPPER(문자열), LOWER(문자열) : 대소문자 변경 || : 문자열 합치기(concatenation) - 숫자 함수 ABS(숫자) : 절댓값 SIGN(숫자) : 부호 (양수 -> 1, 음수 -> -1, 0 -> 0) MOD(숫자1, 숫자2) : 숫자1을 숫자2로 나눈 나머지 CEIL(숫자), FLOOR(숫자), ROUND(숫자, 자리) : 올림, 내림, 반올림 POWER(숫자.. 2023. 4. 10.
SQL (WHERE, 집계 함수, LIKE, ORDER BY) WHERE CREATE TABLE csv파일 정보를 테이블에 적용하기 특정 조건을 가지고 데이터 조회하기 - WHERE 절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 비교 연산자 숫자 혹은 문자 값의 대소, 동일 여부를 확인한다. =, = 논리 연산자 AND 앞에 있는 조건과 뒤에 오는 조건이 모두 참인 경우 OR 앞의 조건이나 뒤의 조건이 참인 경우 NOT 뒤에 오는 조건의 결과를 반대로 부정 연산자 BETWEEN 값1 AND 값2 값1과 값2 사이의 비교 age BETWEEN 20 AND 30; 위는 20 2023.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