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시 테이블
- 파이썬에는 딕셔너리가 내장되어 있다.
- 리스트를 이용해서도 key value를 저장할 수는 있다.
- 딕셔너리는 해시 테이블(hash table)을 이용하여 key : value를 저장한다.
- 해시 함수 : 임의의 길이를 가지는 데이터를 고정 길이의 데이터로 맵핑하는 함수
- 해시 : 해시 함수를 통해 얻어진 값
- 파이썬의 딕셔너리는 해시 함수와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연산 속도가 리스트보다 빠르다.
2. 딕셔너리 기본 문법
- 딕셔너리 선언
- 딕셔너리 삽입/수정
- 딕셔너리 삭제
- 딕셔너리 조회
- 딕셔너리 문법 정리
3. 딕셔너리 메서드
1) .keys()
- 딕셔너리의 key목록이 담긴 dict_keys 객체 반환
2) .values()
- 딕셔너리의 value 목록이 담긴 dict_values 객체 반환
3) .items()
- 딕셔너리의 (key, value) 쌍 목록이 담긴 dict_items 객체 반환
'Computer Science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힙(Heap), 셋(Set) (0) | 2023.05.04 |
---|---|
스택, 큐 (Stack, Queue) (0) | 2023.04.19 |
문자열 (String) (0) | 2023.04.17 |
리스트(List) (0) | 2023.04.13 |
SQL (GROUP BY, HAVING, ALTER TABLE) (1) | 2023.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