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준 그룹 단어 체커 - 1316 [python, 구현, 문자열] 1316번: 그룹 단어 체커 그룹 단어란 단어에 존재하는 모든 문자에 대해서, 각 문자가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만을 말한다. 예를 들면, ccazzzzbb는 c, a, z, b가 모두 연속해서 나타나고, kin도 k, i, n이 연속해서 나타나기 때 www.acmicpc.net - 자체 풀이 input으로 받은 문자열을 순차적으로 순회하면서 앞뒤 문자를 비교하면 되겠다. 우선 가장 처음으로 문자열의 길이가 하나면 바로 cnt += 1 해주자 어차피 그룹 단어니까 for문을 돌때 첫 글자는 앞 문자가 따로 없으니까 for문도 1번 인덱스 부터 돌지 뭐 대신 alp라는리스트를 만들고 거기에 첫 문자를 넣어준다. 앞 문자와 비교했을 때 서로 다르면 현재 문자를 alp 리스트에 넣어준다. 단 alp리스트에 현재.. 2023.06.14
- 백준 [Bronze II] 할리갈리 - 27160 [파이썬, 자료 구조, 해시를 사용한 집합과 맵, 구현, 문자열] 27160번: 할리갈리 한별이가 종을 쳐야 하면 YES을, 아니면 NO를 출력해주세요. www.acmicpc.net 단순하게 딕셔너리로 4가지 카드의 수를 0 가지도록 초기화 하고 N번 input을 통해 카드의 수를 더해주도록 하자. 그리고 if문을 통해 동일한 카드 5장이 있는지 확인해주면 끝 num = int(input()) hal = { # 미리 카드들의 수를 저장할 딕셔너리를 만들어 준다. "BANANA" : 0, "PLUM" : 0, "STRAWBERRY" : 0, "LIME" : 0} for i in range(num): # num만큼 돌아준다. c, n = input().split() # split으로 c 카드, n 카드 장수 각각 저장해준다. hal[c] += int(n) # 카드에 카드 .. 2023.05.26
- HTTP와 HTTPS의 차이점 참고 : https://mangkyu.tistory.com/98 1. HTTP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란? http란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즉,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http 서버가 80번 포트에서 요청을 기다리고 있으며, 클라이언트는 80번 포트로 요청을 보내게 된다. HTTP의 구조 http는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로 TCP/IP 위에서 작동한다. http는 상태를 가지고 있지 않는 Stateless 프로토콜이며 Method, Path, Version, Headers, Body 등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http는 암호화가 되지 .. 2023.05.23
- 프로그래머스 [level 1] 달리기 경주 - 17887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얀에서는 매년 달리기 경주가 열립니다. 해설진들은 선수들이 자기 바로 앞의 선수를 추월할 때 추월한 선수의 이름을 부릅니다. 예를 들어 1등부터 3등까지 "mumu", "soe", "poe" 선수들이 순서대로 달리고 있을 때, 해설진이 "soe"선수를 불렀다면 2등인 "soe" 선수가 1등인 "mumu" 선수를 추월했다는 것입니다. 즉 "soe" 선수가 1등, "mumu" 선수가 2등으로 바뀝니다. 선수들의 이름이 1등부터 현재 등수 순서대로 담긴 문자열 배열 players와 해설진이 부른 이름을 담은 문자열.. 2023.05.23
- 프로그래머스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 81301 [파이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130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처음 접근 >> 리스트를 숫자와 문자 두개로 만들어 인덱스를 통한 접근으로 바꾸줘야겠다 def solution(s): answer = "" # 편하게 더하기 위해 str으로 바꿔준다. ## 두개의 리스트를 만들고 index를 통해 변경해주겠다. num = ["0", "1", "2", "3", "4", "5", "6", "7", "8", "9"] string = ["zero", "one", "two.. 2023.05.09